본문 바로가기
  • 책과 글

도서/인문 | 인문학일반3

경제학자는 어떻게 인생의 답을 찾는가 (카우식 바수) 링크 (교보문고) 경제학자는 어떻게 인생의 답을 찾는가 | 카우식 바수 - 교보문고경제학자는 어떻게 인생의 답을 찾는가 | 삶이 흔들릴 땐 경제학자처럼 생각하라! 일상의 고민부터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방법까지 현실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해법으로 가득한 책!★김현철product.kyobobook.co.kr  인생이라는 게임에서 원하는 것을 얻는 삶의 기술  학부 시절 가장 재미있게 수강했던 과목 중 하나가 게임이론이었다. 내가 경제학을 배우면서 가장 흥미롭게 느꼈던 부분은 인간의 행동을 공식으로 설명하는 부분이었다. 경제학원론 - 미시경제 - 게임이론 순으로 학기가 지남에 따라 수강 과목을 좁히고 심화해나가면서 나는 경제주체로서의 개인의 선택과 의사결정을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과목들에 흥미를 느끼며 공.. 2025. 3. 30.
가짜 노동 (데니스 뇌르마르크 & 아네르스 포그 옌센) 2020년부터 약 2년 간 전 세계를 휩쓸었던 코로나는 우리 삶을 기존과는 전혀 다른 불안과 무질서에 몰아 넣었지만, 한편으로는 예기치 않은 큰 교훈을 주기도 했다. 코로나로 인해 많은 직장에서 재택근무라는 새로운 방식을 부득이하게 채택할 수밖에 없었는데, 생각보다 큰 문제 없이 운영되었기 때문이다(오히려 장점이 더 많았을지도?). 우리는 다시 코로나로부터 정상화되면서 예전 모습으로 돌아가고 있다. 하지만 나는 책에서 언급하는 수많은 '무대 뒤의 노동'에 대해서만큼은 사실상 이 기회에 100퍼센트 재택근무제로 전환해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다 보니 함께 일했던 동료들 중 특정 인물이 떠올랐다. 그(혹은 그녀)는 만날 때마다 업무에 말그대로 '치여'있는 상태였다. 본인 말에 따르면.. 2024. 3. 3.
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 1. '공정한 능력주의 제도를 마련하자', '사회적 위치가 재능과 노력을 반영하게 하자'며 되풀이되는 이야기는 우리가 성공(또는 패배)을 해석하는 방식에 잘못된 영향을 준다. 재능과 노력을 보상하는 체제라고 생각하는 건, 승자들이 승리를 오직 자기 노력의 결과라고, 다 내가 잘해서 성공한 것이라고 여기게끔 한다. 그리고 그보다 운이 나빴던 사람을 깔보도록 한다. 2. 이 섭리론에 대한 믿음은 역사의 옳은 편과 잘못된 편 이야기에 도덕적 보증을 제공한다. 또한 미국(또는 다른 어떤 나라라도)이 선하기에 위대하다는 주장도 뒷받침한다. 어떤 나라라도 신의 일을 하기만 하면, 또는 자유와 정의로 뻗은 역사의 행진에 앞장서기만 하면 그 위대함이 선함의 증표가 될 수 있다. 3. 이와 달리 능력주의 사회의 밑바닥에.. 2021. 3. 7.